맨위로가기

Cry…Our Wanna Be Natio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ry…Our Wanna Be Nation!은 유앤미 블루의 데뷔 앨범에서의 아쉬움을 반영하여 한국 사회를 주제로 한 앨범이다. 멤버 이승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를 다룬 소설 "Cry the Beloved Country"를 언급하며 한국 사회의 차별성을 지적하고, 1집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담았다고 설명한다. 앨범에는 총 14곡이 수록되었으며, 유앤미 블루의 이승열과 방준석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미블루의 음반 - Nothing`s Good Enough
    유앤미 블루의 2집 앨범인 Nothing's Good Enough는 방준석과 이승열이 주축이 되어 미국 유학 시절 결성된 밴드가 서울에서 활동하며 발매한 앨범으로, 발매 당시 대중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했으나 평론가와 매니아 사이에서 수작으로 평가받았다.
  • 모던 록 음반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모던 록 음반 - Healing Process
    《Healing Process》는 2006년 9월 21일에 발매된 넬의 세 번째 정규 앨범으로, 2CD로 구성되었으며 김종완이 전곡 작사, 작곡을 맡고 넬 멤버들이 편곡에 참여하여 넬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96년 음반 - Beats, Rhymes and Life
    A Tribe Called Quest의 1996년 앨범 《비츠, 라임스 앤드 라이프》는 멤버 구성 및 음악적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주제의 가사로 호평과 비판을 동시에 받았으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96년 음반 - 비둘기는 하늘의 쥐
    언니네 이발관의 데뷔 앨범 《비둘기는 하늘의 쥐》는 이석원의 거짓말로 시작된 밴드 결성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인디 신에 새로운 감수성을 알린 기타 팝 앨범으로 평가받고 《경향신문》 선정 한국 앨범 100선에서 34위에 랭크되었다.
Cry…Our Wanna Be Nation!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음반명Cry…Our Wanna Be Nation!
가수명유앤미 블루
발매년월일1996년 3월
음반 종류정규 음반
녹음Digital Media Record, Lead Sound, Seoul Studio
장르모던 록
언어,
길이62:20
레이블LG 미디어
프로듀서유앤미 블루, 송홍섭
이전 음반Nothing`s Good Enough (1994년)
현재 음반Cry…Our Wanna Be Nation! (1996년)

2. 앨범의 배경

이승열은 앨범 부클릿에 수록한 글을 통해 2집 앨범의 주제와 방향성을 설명했다.[2][3]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아파르트헤이트) 문제를 다룬 소설 "Cry the Beloved Country"를 언급하며, 한국 사회의 문제에 대한 밀착된 고찰을 담았음을 밝혔다.

이승열은 1집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안적인 음악을 추구하고자 노력했으며, 상투적인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자세로 음악 작업에 임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 사회의 차별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함께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고, 1집에서 부족했던 록적인 요소를 수용하고 라이브적인 투박함을 살리고자 했다고 밝혔다.[2][3]

2. 1. 이승열의 앨범 소개글 (요약)

이승열은 2집 앨범 부클릿에서 Apartheid 철폐 이전의 남아공을 주제로 한 소설 "Cry the Beloved Country"가 떠올랐다고 밝히며, '우리나라' 한국도 예외가 아니라고 말한다.[2][3] U&Me Blue가 한국에서 보낸 2년 남짓한 기간은 한국 사회에 대한 좀 더 밀착된 고찰을 가능케 했다고 설명한다. 앨범의 타이틀은 풍자적이지만, 수록곡들은 사회적 모순을 비꼬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지 않았음을 강조한다. 1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을 담았다고 덧붙였다.

이승열은 전 세계적인 복고주의 유행 속에서, 음악도 혁명적인 정신을 바탕으로 변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형적으로 찌그러진 대중음악계에서 U&Me Blue는 불균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며, 상투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구별이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실험 정신을 강조한다.

또한, 한국 사회를 차별의 나라로 규정하고, 문화적 선두주자가 되기 위한 차별 행위는 필수적이지만, 보편적인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한 'alternative'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좀 더 자연스러운 느낌, 1집에서 수용하지 못했던 Rock적인 요소들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몇몇 곡에서는 Live 적인 투박함, 덜 다듬어진 느낌을 오히려 살리고자 하였다고 밝혔다.[2][3]

3. 수록곡

이 앨범에는 총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전체 편곡은 유앤미 블루가 담당했다. 각 곡의 작사, 작곡 정보는 하단의 수록곡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수록곡 목록

번호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지울 수 없는 너 (Original Version)방준석최철4:11
2그대 영혼에이승열이승열4:45
3어떻게방준석방준석4:25
4나의 다음 숨결보다 소중한 너를 원하고 있어방준석방준석3:27
5천국보다 낯선이승열이승열4:30
6없어이승열이승열4:14
7그날 1 (Original Version)방준석방준석4:32
8세상 저편에 선 너유앤미 블루유앤미 블루5:33
9Moments방준석방준석2:53
10La La La La Day이승열이승열5:39
11U이승열이승열5:33
12언제나 내 곁에이승열이승열3:41
13그날 2 (Pseudo Live Version)방준석방준석4:06
14지울수 없는 너 (Beta Version)방준석최철4:09


4. 참여 인물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과[2] 음반 정보에서[4] 발췌하였다.

역할참여자
이승열보컬,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베이스 기타, 리듬 시퀀스, 피아노 시퀀스, 코러스, 타악기 시퀀스, 백 보컬
방준석보컬, 기타, 베이스 기타, 건반&리듬 시퀀스, 코러스, 백 보컬, 드럼 프로그래밍, 음향 효과
김민기드럼(1, 7, 14)
김욱드럼(3, 4, 5, 6, 8, 13)
김성태드럼(10, 11)
방준원베이스(3, 7)
강기영베이스(4, 8, 13)
김병찬베이스(5, 6), 녹음, 믹싱(3, 11)
송홍섭베이스(10, 11),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장경아신시사이저(8, 10, 11), 피아노(10), 건반(13)
김장훈하모니카(11)
박병준백 보컬(8), 믹싱, 녹음, 마스터링, 디지털 에디터
박권일녹음
한의수, 서종칠, 임재일보조 기술(12)
우현정, 김진석공동 프로듀서
정주애스타일리스트
이양미헤어, 메이크업
윤준섭사진
Matrix예술
김경태, 김준정(matrix)그래픽 디자인


4. 1. 유앤미 블루

이승열보컬,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베이스 기타, 리듬 시퀀스, 피아노 시퀀스, 코러스, 타악기 시퀀스, 백 보컬을 담당했다.[2][4] 방준석은 보컬, 기타, 베이스 기타, 건반과 리듬 시퀀스, 코러스, 백 보컬, 드럼 프로그래밍, 음향 효과를 담당했다.[2][4]

4. 2. 세션 연주자

악기연주자참여 곡
드럼김민기1, 7, 14
드럼김욱3, 4, 5, 6, 8, 13
드럼김성태10, 11
베이스방준원3, 7
베이스강기영4, 8, 13
베이스김병찬5, 6
베이스송홍섭10, 11
신시사이저장경아8, 10, 11
피아노장경아10
건반장경아13
하모니카김장훈11
백 보컬박병준8

[2]

4. 3. 스탭

역할이름
녹음박권일[2], 박병준[2], 김병찬[2]
보조 기술한의수, 서종칠, 임재일[2]
믹싱박병준[2], 김병찬[2]
마스터링박병준[2]
디지털 에디터박병준[2]
공동 프로듀서우현정, 김진석[2]
스타일리스트정주애[2]
헤어, 메이크업이양미[2]
사진윤준섭[2]
예술Matrix[2]
그래픽 디자인김경태, 김준정(matrix)[2]


참조

[1] 뉴스 만만찮은 듀엣 둘 새 앨범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6-05-10
[2] 문서 《Cry…Our Wanna Be Nation!》 라이너 노츠
[3] 뉴스 차별, 모순에 맞선 1.5세 록 그룹의 도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7-20
[4] 웹인용 《Cry.... Our Wanna Be Nation!》 크레딧 정보 http://www.maniadb.c[...] 2014-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